코드 정적분석
이라 함은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코드만의 형태에 대한 분석을 말한다. 이를테면 냄새나는 코드(?)라던지, 위험성이 있는 코드, 미리 정의된 규칙이나 코딩 표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말하는데 java 기준으로는 아래 다양한 (잘 알려진) 정적분석 도구들이 있다.
Continue reading
PullRequest가 발생하면 알림을 받고싶다거나, 내가 관리하는 레파지토리에 댓글이 달릴때마다 또는 이슈가 생성될때마다 정보를 저장하고 싶다거나. 종합해보면 Github에서 이벤트가 발생할때 어떤 동작을 해야 할 경우
Github에서 제공하는 Webhook 을 사용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ontinue reading
Jenkins에서 Github의 소스를 가져와서 빌드를 하는 등 Github과 Jenkins와 연동을 시켜줘야하는 상황에서, 별도의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다른 여러 방법이 있을수 있는데 여기서는 SSH로 연동하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테스트 코드로 안되는 실제 브라우저단 사용성 테스트를 하고싶은 경우가 있다. 이를테면 화면이 뜨고, 어떤 버튼을 누르면, 어떤 결과가 나와야 하는 일련의 Regression Test
. 이때 활용할수 있는게 다양한 도구가 있지만 이번엔 selenium
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apache access log 를 분석하고 싶은 상황이 생겼다. 아니 그보다 apache access에 대해서 실시간으로 보고싶었고, log를 검색 & 데이터를 가공하여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만들어 보고 싶었다. 그에 생각한것이 (역시) ElasticStack
.
Continue reading
파이썬 2.x 에서는 depreate 된 모듈도 많고 3.x에서만 지원되는 버전들이 많아지면서 실컷 개발을 해도 파이썬 버전때문에 다시 짜야하는 상황이 생긴다. 파이썬 버전업을 하고싶어 구글링을 해보면 이렇다할 정리된 문서가 잘 안나온다. (영어로된 포스트는 많이 있긴 하나, 필자의 환경과는 맞지 않는 …) Continue reading
작년에 팀을 옮기면서 로깅
에 대해서 관심을 갖기 시작 하였고 찾아보다 ElasticStack 이 적합하다고 판단, 팀 내에서 나홀로 삽질해가며 지금의 로그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에 ElasticStack 에 관심을 갖던 찰나 지난 화요일(12월 12일)에 있었던 Elastic On Tour에 참석을 하였고 다양한 기술적 인사이트를 얻을수 있었는데 그 감동(?)을 잃기 싫어 정리해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필자가 맡고있는 서비스에 Elastic Stack 을 도입하면서 중간에 버퍼가 필요하여 Message-Queue 시스템들을 알아보던 중 Kafka 에 대해 알아보고, 정리를 해보게 된다. Continue reading
벌써 10번째 Naver에서 주최하는 Deview. 올해도 어김없이 참석을 하게 되었고, 이번엔 보고 듣고 느꼈던 부분들을 조금이라도 간직하고 싶은 마음에 바로 블로깅을 하려고 한다. (오랜만에 블로깅이긴 하지만…) Continue reading

서버를 운영하다보면 간혹 문제가 발생하곤 한다. 이를테면 메모리가 다른이유없이 올라간다거나, 사용자 입장에서 응답속도가 간헐적으로 느린다거나. 그럴때마다 선배개발자분들께서 가장먼저 입에 오르내리는 단어. keepAlive
.
Continue re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