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hexo 테마중에 그나마(?) 영어로 된 문서가 있어서 적용해보게 된 tranquilpeak 라는 테마. 오늘은 해당 테마를 적용하면서 겪은 문제, 그리고 적용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정리해보고자 한다. (다른 테마들은 거의다 중국쪽이나 일본…) Continue reading

여러가지 hexo 테마중에 그나마(?) 영어로 된 문서가 있어서 적용해보게 된 tranquilpeak 라는 테마. 오늘은 해당 테마를 적용하면서 겪은 문제, 그리고 적용 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나마 정리해보고자 한다. (다른 테마들은 거의다 중국쪽이나 일본…) Continue reading
마지막 포스팅을 한지 벌써 3개월이 지났다. 그렇게 바빴던것도 아니고 블로그포스팅을 할 시간이 안난것도 아닌데 어느덧 다시 정신차리고 블로그를 포스팅 하려고보니 3개월이라는 시간이 흘러버렸네 Continue reading
Select
문이 아닌 다른 SQL Query
(insert, update 등) 를 실행하고서 결과를 봐야하는 상황이 생긴다. 정확히 잘 수행되었나에 대한 확인. 어떻게 쿼리가 잘 수행되었나를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참고 url : http://www.mybatis.org/mybatis-3/ko/sqlmap-xml.html
Continue reading
일반적인 웹 프로젝트 구성에서는 Controller
레벨에서 응답을 받고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 후에 다시 View
레벨로 넘어가는게 통상적인 흐름이다. 이 부분에서 파라미터 관련한 여러가지 부분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벌써 3월이다. 뭐하나 제대로 한것도 없는데 시간은 야속하게도 멈추지 않고 지나가고 있다.
오랜만에 동기형을 만났다.
Continue reading
github 에서는 레파지토리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다양한 API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번에는 그 API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리눅스 상에서 json형태의 String 을 파싱해야하는 상황이라면 아래 라이브러리를 사용해보는것을 추천해본다.
Continue reading
Spring 환경에서 웹 어플리케이션을 만들어야 한다면 pom.xml 에 이런저런 설정들을 적어줘야 했다. 하지만 이런 수고(?)를 덜어줄수 있는 방법중에 한가지가 바로 Spring Boot로 만드는 방법인데, 이클립스 환경에서 만드는 법을 정리하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일반적으로 자바개발을 하다보면 Model
을 만들고 각 멤버변수를 접근할수 있는 (각 요소들이 private 접근권한을 가지고 있을때) method 를 만들게 된다. IDE에서 제공하는 아래처럼… (윈도우/이클립스 기준)
Continue reading
Programmer
Naver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