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은 약간의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이것저것 만져보다 만들게 된 Daily DevBlog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Continue reading

이번 포스팅은 약간의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이것저것 만져보다 만들게 된 Daily DevBlog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Continue reading
Facebook그룹들을 눈팅하다(?) OSS개발자 포럼에서 오픈소스 개발자이야기
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주최한다는 공지를 보게되었다. 언제부턴가 트랜드에 뒤쳐지지 않으려는 몸부림중 세미나같은 외부 개발 행사에 참여해보자는 마음으로 공지를 보자마자 홀린듯이 신청을 하게 되었고
Continue reading
지난포스팅에 이어 이번엔 Flask와 Nginx를 연동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Apache로 연동했는데 왜 또 Nginx로 연동하는걸 정리하지(?)하며 의문이 들수 있는데 다른 포스팅을 봐도 Continue reading
Static한 HTML이 아닌 로직이 필요한 API서버를 구성한다고 가정해보자. (이제까지 지식으로)처음 머릿속에 떠오르는건 Java를 사용하고 스프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apache에 tomcat을 연동한 다음 … Continue reading
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읽힐수 있는 문서를 처리를 하며 일반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앞단에 배치되곤 한다. 동적인 리소스는 WAS에게 처리하도록 하고 정적인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일수도 있다. 크게 Apache와 Nginx가 사용되곤 하는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Continue reading
급변하는 날씨를 예측하려면 어떠한 정보가 있어야 할까?
또는 마트를 운영하는 담당자인 경우 매장 운영시간을 정해야 한다면 어떠한 기준으로?
뜨거운 감자인 비트코인 시장에서 수익을 얻으려면 어떤 정보들이 있어야 물리지(?) 않을수 있을까?
Continue reading
예전에 아파치 로그를 엘라스틱 스택을 활용하여 내 서버에 누가 들어오는지를 확인할수 있도록 구성을 해두고 몇일간 지켜보니 다음과 같은 엑세스 로그가 발생하고 있었다. Continue reading
Desktop 및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다양한 OS와 브라우저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내가 운영하는 웹서버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무슨 기기로 접속을 하는 것일까? 혹여 특정 OS의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안되는 버그를 잡기 위해 몇일밤을 고생하며 겨우 수정했는데… 과연 그 OS의 브라우저에서는 접속은 하기나 하는걸까? (ㅠㅠ) Continue reading
내가 운영중인 웹서비스의 응답속도를 보다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웹 서비스를 위해 서버를 구성할 경우 일반적으로 앞단에 웹서버
를 두고 그뒤에 WAS
를 두는 설계를 하곤 한다.
Continue reading
Spring 환경에서 (Spring5는 달라졌지만…) 외부 API로의 호출을 할때 자주 쓰이는 RestTemplate. 이때 request에 대해 정상적인 응답이 아닌 경우에 대한 처리는 어떻게 할까? 막연하게 생각을 해보면 Http Status Code를 받아서 판별을 하면 되지만 Http Status Code만 봐도 엄청~많다. Continue reading
Programmer
Naver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