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가 운영하고 있는 Daily Dev Blog 라는 서비스는 매일 동일한 시간에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크롤링 하고 사용자에게 메일을 발송하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헌데 예상하지 못한 부분에서 예외가 발생하게 되면 어떤경우는 메일 발송을 못한다거나 기존에 발송했던 데이터를 다시 보내는 등 정상적이지 못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Continue reading
IT관련 행사에 참여하면 여러가지 정보를 얻을수 있다. 개인적으로는 사실 정보를 얻기 위함보다 그곳의 분위기를 현장에서 몸소 느끼고 참여한 사람들의 눈빛을 보며 해이해진 마음가짐을 다시 다잡을수 있음이 가장 큰 목적이다. 그에 올해 Pycon도 하나의 전환점이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신청을 하게 되었다.
Continue reading

자바(Java)로 개발을 하다보면 한번쯤 객체를 복사하는 로직을 작성할때가 있다. 그때마다 나오는 이야기인 Shalldow Copy
와 Deep Copy
. 한국어로 표현하면 얕은 복사와 깊은 복사라고 이야기를 하는데 이 두 개념의 차이는 아주 간단하다. 객체의 주소값을 복사하는지, 아니면 객체의 실제 값(value)를 복사하는지.
Continue reading

1부에서는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이하 서비스)를 왜 만들게 되었고 어떤구조로 만들가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만들면서 만나게 된 각종 트러블슈팅 종합세트(?)
를 하나씩 풀어보고자 한다.
Continue reading

이번 포스팅은 약간의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여 이것저것 만져보다 만들게 된 Daily DevBlog
(기술블로그 구독서비스)에 대해 이야기 하려고 한다.
Continue reading

지난포스팅에 이어 이번엔 Flask와 Nginx를 연동하는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Apache로 연동했는데 왜 또 Nginx로 연동하는걸 정리하지(?)하며 의문이 들수 있는데 다른 포스팅을 봐도 Continue reading

Static한 HTML이 아닌 로직이 필요한 API서버를 구성한다고 가정해보자. (이제까지 지식으로)처음 머릿속에 떠오르는건 Java를 사용하고 스프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고 apache에 tomcat을 연동한 다음 … Continue reading

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읽힐수 있는 문서를 처리를 하며 일반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앞단에 배치되곤 한다. 동적인 리소스는 WAS에게 처리하도록 하고 정적인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일수도 있다. 크게 Apache와 Nginx가 사용되곤 하는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Continue reading

급변하는 날씨를 예측하려면 어떠한 정보가 있어야 할까?
또는 마트를 운영하는 담당자인 경우 매장 운영시간을 정해야 한다면 어떠한 기준으로?
뜨거운 감자인 비트코인 시장에서 수익을 얻으려면 어떤 정보들이 있어야 물리지(?) 않을수 있을까?
Continue reading

예전에 아파치 로그를 엘라스틱 스택을 활용하여 내 서버에 누가 들어오는지를 확인할수 있도록 구성을 해두고 몇일간 지켜보니 다음과 같은 엑세스 로그가 발생하고 있었다.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