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서버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읽힐수 있는 문서를 처리를 하며 일반적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의 앞단에 배치되곤 한다. 동적인 리소스는 WAS에게 처리하도록 하고 정적인 리소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일수도 있다. 크게 Apache와 Nginx가 사용되곤 하는데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일까? Continue reading

Desktop 및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다양한 OS와 브라우저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때, 내가 운영하는 웹서버에 들어오는 사람들은 무슨 기기로 접속을 하는 것일까? 혹여 특정 OS의 특정 브라우저에서만 안되는 버그를 잡기 위해 몇일밤을 고생하며 겨우 수정했는데… 과연 그 OS의 브라우저에서는 접속은 하기나 하는걸까? (ㅠㅠ) Continue reading

내가 운영중인 웹서비스의 응답속도를 보다 더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
웹 서비스를 위해 서버를 구성할 경우 일반적으로 앞단에 웹서버를 두고 그뒤에 WAS를 두는 설계를 하곤 한다. Continue reading

Spring 환경에서 (Spring5는 달라졌지만…) 외부 API로의 호출을 할때 자주 쓰이는 RestTemplate. 이때 request에 대해 정상적인 응답이 아닌 경우에 대한 처리는 어떻게 할까? 막연하게 생각을 해보면 Http Status Code를 받아서 판별을 하면 되지만 Http Status Code만 봐도 엄청~많다. Continue reading

코드 정적분석이라 함은 실제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코드만의 형태에 대한 분석을 말한다. 이를테면 냄새나는 코드(?)라던지, 위험성이 있는 코드, 미리 정의된 규칙이나 코딩 표준을 준수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말하는데 java 기준으로는 아래 다양한 (잘 알려진) 정적분석 도구들이 있다. Continue reading

PullRequest가 발생하면 알림을 받고싶다거나, 내가 관리하는 레파지토리에 댓글이 달릴때마다 또는 이슈가 생성될때마다 정보를 저장하고 싶다거나. 종합해보면 Github에서 이벤트가 발생할때 어떤 동작을 해야 할 경우 Github에서 제공하는 Webhook 을 사용하여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Continue reading

Author's picture

taetaetae

Programmer


Naver Corp.


korea